유튜브수익창출, 조회수 수익 외에 어떤 것이 있을까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 운영 시 주의할 점은
Nov 24, 2025
유튜브수익창출, 조회수 수익 외에 어떤 것이 있을까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유튜브 수익을 ‘조회수 기반 광고 수익’으로만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단순히 조회수만으로 충분한 수익을 만드는 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수백만 원, 수천만 원의 높은 수익을 달성하는 크리에이터들도 사실 조회수만으로 이런 수치를 만들어내지는 않습니다.
유튜브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광고 단가 역시 카테고리별로 차이가 크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크리에이터라면 플랫폼 안에서의 조회수 수익(AdSense)뿐 아니라, 플랫폼 밖에서 발생하는 브랜디드 콘텐츠, 제휴, 협찬 등 외부 수익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수익 구조를 ‘플랫폼 내 수익’과 ‘플랫폼 외 수익’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수익 구조는 어떻게 나뉠까?

유튜브 수익은 크게 플랫폼 내 수익플랫폼 외 수익으로 구분됩니다.

🔹 플랫폼 내 수익 (유튜브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익)

  • 광고 수익 (AdSense)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에 가입하면, 영상 앞·중간·뒤에 삽입되는 광고를 통해 조회수 기반 수익을 얻습니다.
    조회수, 광고 클릭률, 시청 지속시간 등에 따라 단가가 달라집니다.

  • 슈퍼챗·슈퍼스티커·슈퍼땡스·유튜브 쇼핑
    라이브 방송 혹은 업로드 영상에서 팬이 보내는 후원 기반 수익입니다.
    특히 유튜브 쇼핑은 제품 태그 후 판매가 발생할 때 커미션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유튜브 쇼핑 예시
  • 채널 멤버십
    멤버 전용 영상, 커뮤니티 글 등 혜택을 제공하며 월 구독료를 받는 방식입니다.

채널 멤버십 예시

플랫폼 외 수익이란? 크리에이터의 진짜 수익원

유튜브 수익화의 핵심은 사실 플랫폼 외 수익 구조입니다.
조회수에만 의존하면 수익이 불안정해지지만, 브랜드 협업이나 제휴를 통한 외부 수익은 훨씬 높은 단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죠.

🔹 브랜드 스폰서십 / 영상 PPL

(1) 조회당 비용 모델(CPV)

조회수 1회당 일정 금액을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예) 1회당 20원 × 10만 조회 = 200만 원

가장 기본적인 협찬형 구조이며, 이는 크리에이터의 영향려고가 영상의 주제에 따라 다른 단가가 책정됩니다.

브랜드 스폰서십(유료광고포함) 예시

(2) 균일 운임형(고정 계약형)

조회수와 상관없이 콘텐츠 제작비를 한 번에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브랜드가 특정 영상 제작을 의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영상의 콘셉, 편집 난이도, 분량, 섭외 인원 등을 기준으로 계약이 이뤄집니다.

(3) 제품 협찬형 콘텐츠

현금 대신 제품을 제공받고 리뷰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입니다.
직접적인 현금 수익은 아니지만, 이에 상응하는 제품을 무료로 제공받고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 제휴 링크 수익(어필리에이트)

영상 설명란에 제품 링크를 넣고, 구매나 전환이 발생하면 커미션을 받는 구조입니다.

  • 대표 플랫폼: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쿠팡 파트너스

제휴 수익 링크 예시 (좌측 하단)

🔹 자체 상품/서비스 판매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상품, 서비스 등)로 수익을 확대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실물 굿즈나 상품 등을 판매할 수 있으며, 특히 온라인 클래스, 프리셋, 전자책과 같은 디지털 상품에 매우 용이합니다.

이외에 1:1 코칭, 워크숍, 오프라인 행사, 컨설팅 등으로 확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 운영 시 주의할 점

브랜드와 협업하는 브랜디드 콘텐츠는 수익성이 높은 만큼, 주의해야 할 점도 많습니다. 다음 세 가지는 반드시 체크해 주세요.

1) 표시 의무 준수

유료 광고, 협찬, 제휴 등은 반드시 영상 설명란이나 자막을 통해 명시해야 합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정책 위반으로 영상이 비공개되거나 광고 제한이 걸릴 수 있습니다.

2) 계약 조건 및 범위 명확화

  • 영상 내 표현 범위

  • 게재 기간

  • 컷 편집 가능 여부

  • 타 플랫폼 재활용 가능 여부

  • 커미션 기준

이 모든 내용을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해야 분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채널 톤앤매너 유지

협찬 영상이라도 채널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과도한 광고성 콘텐츠는 시청자 이탈을 유발하기 쉽기 때문이죠.
브랜디드 콘텐츠일수록 진정성 있는 표현과 자연스러운 구성 방식이 필요합니다.

Share article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는 순간, 피카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