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자동화로 절약한 시간,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스토리텔링, 메시지에 집중하여 떡상한 유튜브 사례
Jason's avatar
Oct 02, 2025
숏폼 자동화로 절약한 시간,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숏폼 콘텐츠가 마케팅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많은 크리에이터와 기업들이 영상 제작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번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컷 편집, 자막 삽입, 플랫폼별 사이즈 조정은 피로도를 높일 뿐 아니라 인건비, 비용 등 리소스 낭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행히 최근에는 AI 숏폼 자동화 툴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반복 작업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롱폼 영상을 자동으로 숏폼으로 변환하고, 정교한 자동 자막 생성은 물론 아바타 인물과 배경 소스까지 AI가 전부 만들어주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AI 편집 툴을 활용하면 기존에 투입되던 인력과 에너지 등 리소스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절약한 시간을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요?
단순히 더 많은 숏폼을 양산하는 데 쓰는 것이 바랍직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시간을 더 투자해야 하는 4가지 핵심 영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스토리텔링과 메시지에 집중하기 – 충주시 유튜브 사례

숏폼은 빠르게 소비되는 콘텐츠지만 단순히 짧게, 많이 만든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숏폼을 통해 빠르게 성장한 계정들을 살펴보면 탄탄한 스토리텔링과 명확한 메시지가 숨어 있습니다.

✔ 우리 브랜드가 말하고 싶은 메시지와 고객이 원하는 메시지가 일치하는가?
✔ 영상 콘텐츠가 브랜드 가치와 방향성을 제대로 담고 있는가?

AI가 반복 편집을 대신한다면, 마케터와 크리에이터는 이런 전략적 질문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충주시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충주시 유튜브 채널입니다. 이 채널은 얼핏 보면 밈과 챌린지를 활용한 ‘웃긴 채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역 홍보와 공무원의 현실을 담아내며 시청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며 떡상을 했는데요.

이러한 스토리텔링과 메시지의 결합이 다른 지자체 채널과 차별화를 만들어내며, 폭발적인 성장을 만들어 낸 것이죠.

2. 크리에이티브 아이디어 발굴하기 – 유튜버 강뜨거 사례

숏폼 자동화가 주는 가장 큰 이득은 바로 '창의성 발굴의 시간'이 확보된다는 것입니다. 반복적인 편집 업무에서 벗어나면, 그만큼 더 많은 시간을 새로운 콘셉트 발굴에 쓸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브랜드는 단순히 '빠른 영상 제작자'가 아니라 ‘트렌디하고 스토리텔링이 잘 반영된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습니다.


✔ 최신 밈, 챌린지, 튜토리얼 같은 트렌디한 숏폼 포맷 실험
✔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
✔ 경쟁사 분석을 통해 차별화된 아이디어 도출
✔ 인기 있는 bgm, 폰트, 영상 편집 스타일 써치

출처 : 강뜨거

유튜버 강뜨거는 독특한 카톡 더빙 콘텐츠로 처음 알려졌는데요. 친구들의 카톡 대화를 1인 다역으로 더빙하며, 현실감 넘치는 연기와 솔직한 입담이 화제가 된 케이스입니다.

'강뜨거 더빙 뿌리기'라는 유행어를 탄생시킬 정도로 독특하고 차별화된 콘텐츠를 선보였는데요. 현재는 구독자 약 61만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숏폼에서 유행하는 트렌드를 빠르게 따라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00 하며 내가 이룬 것들'과 같은 포맷이 떡상을 하게 되면, 우리 계정에도 빠르게 적용함으로써 떡상의 흐름에 함께 올라타는 방법인데요.

인기 있는 bgm, 폰트, 자막 스타일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트렌드를 써치하고 이를 반영하는 데에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죠.

3. 고객과의 소통 강화하기

많은 브랜드가 간과하는 부분은 고객과의 대화가 곧 콘텐츠 성과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영상 편집과 업로드에 매달리다 보면, 정작 댓글 관리나 메시지 대응 같은 고객 커뮤니케이션에 시간을 쓰기 어렵습니다.

이 과정에서 고객의 서비스 개선에 대한 목소리, 컴플레인 등도 무시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영상 편집에 집중하다가 서비스의 본질을 잃어버리는 주객전도가 되는 상황입니다.

AI 숏폼 자동화로 시간을 절약하면, 소셜 채널 운영의 본질적인 부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댓글 관리 및 고객 피드백 대응
✔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기획, 운영
✔ 고객 반응 데이터 분석 → 콘텐츠 개선 인사이트 도출

이러한 활동은 단순히 팬과 소통하는 수준을 넘어, 브랜드 충성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핵심 자산이 됩니다.

4. 롱폼과 브랜드 자산 콘텐츠 제작하기

숏폼은 관심을 끌고 빠른 도달을 만들어내는 데 효과적이지만, 브랜드의 깊이를 쌓고 신뢰를 구축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브랜드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서는 롱폼 콘텐츠 또는 자산화된 자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블로그 글, 뉴스레터, 케이스 스터디 같은 장기적 브랜드 자산 제작
✔ 숏폼에서 확보한 관심을 장기화할 수 있는 고퀄리티의 롱폼 영상 콘텐츠 기획, 발굴
✔ 영상 기반 외에도 글, 이미지, 데이터 중심 콘텐츠로 확장

출처 : 뿅글이

즉, 숏폼이 고객을 유입시키는 입구라면, 롱폼은 브랜드 신뢰도를 구축하고 충성 팬으로 만드는 심화 과정입니다. 롱폼 외에 장기화된 브랜드 자산에 투자를 한다면, 장기적인 ROI(투자 대비 수익률)은 훨씬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출처 : 뿅글이 (롱폼)

대표적으로 경제, 부동산 유튜버는 숏폼과 롱폼을 잘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신 이슈와 경제 현황 등을 빠르게 익히고 이에 대한 통찰이 담긴 콘텐츠나 정보를 롱폼에서 차근하게 풀어내고, 이 중 후킹이 될 만한 요소들을 숏폼으로 재생산하는 방식이죠.


AI 숏폼 자동화 툴은 반복적인 편집 작업을 줄여주지만, 진짜 가치는 절약한 시간을 어디에 쓰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스토리텔링과 메시지, 창의적인 아이디어, 고객과의 소통, 그리고 장기적 브랜드 자산 제작에 시간을 투자한다면 숏폼은 단순한 바이럴 도구를 넘어 브랜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는 순간, 피카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