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쇼츠 성장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재밌는 통계 자료들 몇개를 가져왔는데요. 함께 알아보시죠 :)
해당 자료는 2024-04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숏폼의 전반적 통계
현재 유튜브를 통해 매달 업데이트 되는 숏폼의 수는 3200만개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글로벌하게 현존 하는 숏폼의 영상수는 8억 3천만개 정도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숏폼 영상을 한 번이라도 업로드한 유튜브 채널 수는 4300만개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만 35세 이하의 경우 숏폼 이용률은 81% 에 달합니다.
만 35세 이상일 경우 숏폼 이용률을 76% 에 달합니다.
유튜브 총 조회수 중 숏폼이 차지하는 비율을 88%에 달하며 앞으로 더욱 증가하여 90% 초반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튜브 쇼츠의 글로벌 일일 조회수는 700억회 이상입니다.
이러한 수치에 더해서 가장 무서운 숫자는 숏폼 1년 평균 조회수 성장률이 2배가량 된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숏폼이 아닐경우 컨텐츠 소비를 어려워하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임을 알 수 있는 수치들이였습니다.
숏폼 업로드에 도움이 되는 통계
유튜브 쇼츠의 조회수 분포입니다. 쇼츠의 길이가 1분에 근접 할 수록 조회수가 더 많이 나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30~60초 사이의 쇼츠를 업로드 하는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업로드 된 쇼츠 영상 시간별 분포입니다. 사람들이 어떤 시간대의 쇼츠를 가장 많이 올렸는지 알 수 있죠.
위의 통계만을 가지고 가장 최적화된 쇼츠을 만들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유튜브 쇼츠 알고리즘에는 평균 시청시간 을 알고리즘에 반영합니다. 조회수가 높다는것이 평균시청시간이 높다는것은 아닙니다.
영상을 시청했는지 혹은 보지않고 위로 넘겨버렸는지가 이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시청을 한 비율이 60% 미만으로 하락하면 통계적으로 낮은 퍼모먼스를 나타냅니다.
영상의 길이가 긴것이 조회수가 높은 경향이 있지만 이를 넘어서 좋은 컨텐츠로 이탈을 막는것도 핵심이라는것이죠.
유튜브 쇼츠에 관련된 통계들을 짧게 살펴보았는데요,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에 좋은 쇼츠를 빠르게 만드는
피카클립을 이용해서 함께 성장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