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하나로 구독자 수십만명으로 떡상한 유튜버는?

11월 2주차 : 주목할 유튜브 채널
Jason's avatar
Nov 14, 2025
스토리텔링 하나로 구독자 수십만명으로 떡상한 유튜버는?

채널 파헤치기

진돌님 유튜브: https://youtube.com/@jindol?si=DI2fIWb2geWtYhoD

1. 타이밍과 콘텐츠의 완벽한 조합

진돌 채널의 성공은 '운'이 아닌 '준비된 기회'의 결과였어요.

🥳 전환점이 된 100번째 영상

  • 2023년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적녹색약 이야기가 화제가 되자, 기존에 업로드했던 색약 관련 영상이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았어요.

  • 흥미로운 건 이 영상이 정확히 100번째 업로드였다는 거예요.

  • 작가는 "100개까지만 올리고 안 되면 계정 삭제"를 고민하던 시점이었대요.

💡 특이한 콘텐츠 소재의 힘

  • 색약 미대생이 군대에서 '도색병'이 된 썰

  • 웹툰 작가가 실제로 겪은 이야기라는 진정성

  •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없는 독특한 경험담

2. 쇼츠인데 라이브 같은 편집 전략

진돌의 숏폼은 단순히 롱폼을 잘라낸 게 아니에요.

✂️ 차별화된 편집 방식

  • 쇼츠지만 마치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보는 듯한 생동감이 있어요.

  • 롱폼 영상을 단순히 따오는 게 아니라, 숏폼만을 위해 재가공해요.

😊 낚시성이 아닌 진심의 제목

  • 자극적이지만 허위가 아닌, 실제 경험에 기반한 제목이에요.

  • "색약 미대생이 도색병이 된 썰"처럼 궁금증을 자극하면서도 실화예요.

3. 언변과 스토리텔링의 힘

🗣️ 조리있는 말솜씨

  • 자극적인 발언보다는 조리있게 풀어내는 화법이에요.

  • 삼천포로 빠지는 듯하지만 결국 본론으로 자연스럽게 돌아와요.

  • 시청자들이 위화감 없이 몰입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죠.

  • Ex: '군대 두꺼비 썰'에서 두꺼비 이야기 도중 게임 캐릭터나 시청자 진로 상담으로 이야기가 새어 나가지만, "뭔 얘기하고 있었죠?"라며 자연스럽게 본론으로 돌아와 오히려 몰입감을 높여요.

🎥 롱폼이 숏폼을 살려요

  • 시청자들이 롱폼 영상을 보고 재밌어서 숏폼도 계속 찾아봐요.

  • 숏폼으로 유입 → 롱폼으로 정착 → 숏폼 재소비의 선순환 구조예요.

  • Ex: 1시간이 넘는 생방송 풀영상의 하이라이트를 편집한 '군대 썰' 숏폼이 신규 시청자를 유입시키고, 이들이 원본 롱폼 영상을 찾아보며 팬으로 정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요.

4. 커뮤니티 형성으로 이탈 방지

진돌은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는 구독자가 아닌, 함께하는 커뮤니티를 만들었어요.

🔗 콘텐츠 + 커뮤니티 전략

  • 웹툰 작가이면서 유튜버로서 양방향 소통을 해요.

  • 아내 '히디'와의 부부 스토리가 더해져 친근한 이미지를 줘요.

  • '돌디샵' 굿즈를 직접 포장하며 팬들과의 거리를 좁혀요.

  • 생방송을 통한 실시간 소통으로 커뮤니티 결속력을 강화해요.


크리에이터를 위한 인사이트

🎓 배울 점

  1. 100번째까지의 끈기: 진돌은 포기 직전까지 갔지만, 그 100번째 영상이 전환점이 됐어요. 꾸준함이 기회를 만들어요.

  1. 차별화된 경험 공유: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닌,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을 콘텐츠로 만들어보세요.

  1. 숏폼 전략의 재정의: 단순 편집이 아니라, 숏폼만을 위한 편집 전략을 사용해보세요.

  1. 롱폼과 숏폼의 시너지: 두 포맷을 경쟁 관계가 아닌 보완 관계로 활용해보세요.

  1. 진정성 있는 소통: 자극적인 콘텐츠보다 진정성 있고 조리있는 전달이 장기적으로 더 매력적일 수 있어요.

  1. 커뮤니티 구축: 구독자를 넘어 커뮤니티를 만드는 게 이탈을 방지하는 핵심이에요.


마무리

진돌님의 사례는 "콘텐츠의 질 + 타이밍 + 끈기"의 삼박자가 만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줘요.

특히 주목할 건 100번째 영상에서의 반전이에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성과가 나오지 않아 포기하지만, 진돌은 그 직전까지 버텼고, 준비된 콘텐츠가 있었기에 알고리즘이 기회를 줬을 때 폭발할 수 있었어요.

여러분의 '100번째 영상'은 준비되어 있나요?

Share article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는 순간, 피카클립